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0)
MSDS 물질안전보건자료 경고표지 : 현장에 적용하기 안녕하세요 보건지킴이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MSDS 물질안전보건자료 입니다. MSDS는 실제로 보건관리자의 가장 큰 업무이자 제일 중요한 업무라고 볼 수 있는데요. 내용이 너무 방대해서 어떻게 다 말씀드려야 하나 싶지만, 일단 큰 범위로 알려드리고 세세한 이야기를 천천히 추후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MSDS 물질안전보건자료는 보건관리자 이외에도 "보건관리자의 업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업무입니다. 보건관리자가 없는 공사금액이 적은 현장에서도 이를 안전관리자가 업무를 대신해야 하기 때문에 안전관리자분들도 알고계시는게 좋겠죠. 실제로 여러가지 점검을 받을 때에도 제일 기초적인 기반이 되는 것이 이 MSDS 물질안전보건자료입니다. 보건관리자의 업무인 작업환경측정, 건강검진 등 모든것이 MSDS..
보건관리자 건강관리실 : 현장에 있어야 할 응급구비물품 보건관리자 건강관리실 필요할까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4조[보건관리자에 대한 시설.장비 지원] 내용을 보면, 1. 건강관리실 : 근로자가 쉽게 찾을 수 있고 통풍과 채광이 잘되는 곳에 위치해야 하며, 건강관리 업무의 수행에 적합한 면적을 확보하고 ... 등등 2. 상하수도 설비, 침대, 냉난방시설, 외부 연락용 직통전화, 구급용구 등이 있어야 한다. 사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22조 [보건관리자의 업무]에 따라 보건관리자가 별표6 제2호 또는 제3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시설 및 장비를 지원해야 한다. 라고 되어있다. 여기서 별표6 제2호 또는 제3호는 의사 또는 간호사! 지난번 포스팅에서 말했던 보건관리자가 산업위생기사인 경우에는 건강관리실이 필수항목은 아니지만 요즘은 회..
보건관리자 업무 채용 선임대상 자격요건 안녕하세요 현직자가 알려주는 리얼스토리 "보건지킴이" 입니다. 이 블로그는 제가 보건관리자 업무를 하면서 제공할 수 있는 업무 대부분을 공유해드릴 예정인데요. 그 첫번째 이야기로 보건관리자로서 자격요건과 기본적인 업무를 먼저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보건관리자의 업무,선임대상,자격요건 그리고 보건관리자로서 채용되었을 때, 제일 먼저 해야 하는 업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보건관리자라는 직업을 떠올리면 가장 먼저 "간호사"를 생각합니다. 제가 실제로 제 직업이 보건관리자라는 것을 밝혔을 때 처음 듣는 사람들은 "아~ 간호사?" 가 첫번째이고, "아니요~ 저는 ㅇㅇ회사 소속이에요" 하면 "아~ 학교 보건실 같은건가?" 라고 합니다. 그렇게 (보건관리자 = 보건쌤)으로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보건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