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0) 썸네일형 리스트형 자동심장충격기 AED 설치 신고 개정 (22.12.22 시행) 자동심장충격기 AED 이제는 많이 들어보셨죠? 응급환자의 심정지가 발생한 경우 골든타임은 약 4분입니다. 4분안에 119 응급구조대가 현장에 도착할 수 있으면 너무 좋겠지만.. 여건 상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미 지하철, 공항 등등 AED 설치가 의무인 곳들이 많지만 우리 건설현장 같이 근로자가 있는 현장에서도 자동심장충격기 AED를 설치하는 곳이 많죠. 근데 이 설치한 AED를 이제 관할구 보건소에 신고하라고 합니다. 자세히 알아볼까요? 기존 의무설치 기관이 설치하는 경우에는 과태료가 있었는데요 의무설치대상 1. 공공보건 의료기관 2. 구급대와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는 구급차 3. 항공기 중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여객 항공기와 공항 4. 철도차량 중 객차 5. 20톤 이상인 선박 6. 500세대.. 화재감시자 업무 역할 (22.12.19 고용노동부) 현장에서 빠질 수 없는 직종, 화재감시자입니다. 고용노동부 화학사고예방과에서는 22.12.19 화재감시자 업무 매뉴얼을 배포하였습니다. 화재감시자의 역할은 무엇이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최근 고용노동부는 평택 인근 물류창고 현장소장(10개 건설사)와 물류창고 건설현장 화재예방 간담회를 실시하였습니다. 이번 간담회는 물류창고 건설현장 화재 발생 시 다수의 인명피해 가능성이 높아 정부에서 관심을 갖고 특별히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하에 마련되었습니다. 이렇게 관심이 많은 만큼, 고용노동부는 용접.용단 등 화재위험작업 시 배치되는 화재감시자가 숙지하여야 하는 화재감시자 업무 매뉴얼을 개정. 배포하였습니다. 실제로 현장에서는 화재위험작업뿐만 아니라, 화학물질(가연성 물질, 자재.. 이전 1 ··· 4 5 6 7 다음